반응형
부산시·대구시·광주시 소상공인 지원 비교
지방 광역시인 부산, 대구, 광주시는 각각의 특성과 산업 구조에 맞춰 소상공인을 위한 다양한 지원 정책을 운영하고 있습니다. 본 글에서는 2025년 현재 기준으로 각 도시에서 시행 중인 대표적인 지원사업을 비교 분석하여, 자신의 지역에 맞는 정책을 빠르게 파악할 수 있도록 안내드립니다.
1. 부산시 소상공인 지원 정책
① 소상공인 행복카드
- 지원 내용: 카드 가맹 시 소모성 경비 할인(세무, 인쇄, 전산 등)
- 대상: 부산시 내 사업장 등록 소상공인
- 혜택: 제휴 가맹점 최대 30% 할인
② 부산경제진흥원 창업지원
- 내용: 예비창업자 대상 창업교육 + 보육센터 입주 + 시제품 제작 지원
- 신청: 분기별 공모 방식 (온라인)
- 선발 시 최대 500만 원 상당 창업지원금 지급
③ 임대료 지원 사업
- 대상: 전통시장 및 상권활성화구역 입점 점포
- 내용: 임대료의 30%~50% 지원 (최대 3개월)
- 조건: 최근 3개월 매출 감소 증빙 필요
④ 스마트상점 지원
- 키오스크, 모바일 오더 시스템 등 디지털 전환 장비 지원
- 보조 비율: 장비비 80% (자부담 20%)
- 신청: 부산시 경제진흥원 홈페이지 공고
2. 대구시 소상공인 지원 정책
① 온누리상품권 가맹점 확대 사업
- 지원 내용: 신규 가맹점 대상 POS 시스템, 간판 교체 비용 일부 보조
- 대상: 대구 전통시장·상점가 내 소상공인
- 장점: 고객 접근성 + 정부 구매 확대 수혜 가능
② 소상공인 무이자 융자사업
- 지원 내용: 협약된 신협·지역은행을 통한 무이자 대출
- 한도: 최대 3천만 원 / 1년 거치 3년 상환
- 보증재단 연계 없음, 대출 간소화 장점
③ 점포 환경개선 사업
- 내용: 인테리어, 간판 교체, 조명 개선 등 실물 투자 비용의 70% 지원
- 신청: 상시 접수, 예산 소진 시 조기 마감
④ 창업맞춤형 패키지
- 대상: 창업 1년 이내, 39세 이하 청년
- 내용: 교육 + 마케팅 지원 + 최대 1천만 원 지원
3. 광주시 소상공인 지원 정책
① 청년몰 입점 지원
- 대상: 만 19~39세 청년 창업자
- 내용: 청년몰 내 점포 입점 시 임대료 전액 지원 (최대 1년)
- 부대시설 리모델링도 일부 보조
② 로컬푸드 직매장 입점 지원
- 대상: 소규모 식품 제조·판매 창업자
- 내용: 로컬푸드 직매장 내 공간 확보 + 마케팅 홍보비 최대 200만 원
③ 자영업 회복지원금
- 대상: 코로나19 이후 매출이 30% 이상 감소한 점포
- 지원금액: 최대 300만 원 일시금 지급
- 신청: 광주시청 기업지원과 또는 온라인 접수
4. 비교 요약 표
항목 | 부산시 | 대구시 | 광주시 |
---|---|---|---|
자금 지원 | 행복카드 할인 + 창업 보조 | 무이자 대출, 융자 사업 | 회복지원금 최대 300만 원 |
임대료 지원 | 최대 50% | 환경개선 간접 지원 | 청년몰 입점 시 전액 |
창업/청년 대상 | 보육센터 입주, 창업자금 | 창업맞춤형 패키지 | 청년몰, 로컬푸드 입점 |
디지털/스마트 지원 | 스마트상점 지원 | POS 시스템 설치 | 마케팅 간접 보조 |
5. 마무리
지방 광역시는 서울·경기와는 다른 방식으로 **현장 밀착형 지원 정책**을 강화하고 있습니다. 각 시의 경제 진흥원, 창업지원센터 홈페이지를 주기적으로 방문하여 공고 시기를 놓치지 않고 신청하는 것이 핵심입니다.
특히 청년 창업자, 소규모 자영업자라면 해당 지자체가 마련한 **임대료, 마케팅, 디지털 전환** 사업을 적극 활용해보세요!
반응형
'정부지원 > 소상공인 정책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지자체 소상공인 지원사업 신청 시 놓치기 쉬운 실수들 (0) | 2025.07.12 |
---|---|
구청·군청에서 받는 우리 동네 숨은 지원금 (3) | 2025.07.12 |
경기도 소상공인 대상 지원정책 완벽 안내 (0) | 2025.07.12 |
2025년 서울시 소상공인 지원사업 총정리 (0) | 2025.07.12 |
★2025 소상공인 정책자금 지원 시리즈 총정리 (2) | 2025.07.12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