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2025년 기초생활수급자 자격 조건 총정리 – 생계급여 받으려면?
생활이 어려워 정부의 지원이 필요하다면, 가장 먼저 알아야 할 제도가 바로 기초생활보장제도입니다.
이번 글에서는 2025년 기준 기초생활수급자의 자격 조건과 생계급여 신청 기준을 가장 최신 정보로 정리해드립니다.
✅ 기초생활수급자란?
기초생활수급자는 소득과 재산이 일정 기준 이하로 생계를 유지하기 어려운 국민에게 정부가 생계비, 의료비, 주거비 등을 지원하는 제도입니다.
- ✔️ 운영 기관: 보건복지부
- ✔️ 신청 장소: 주소지 관할 읍·면·동 주민센터
- ✔️ 지원 항목: 생계급여, 의료급여, 주거급여, 교육급여 등
✅ 2025년 생계급여 수급 자격
① 소득 기준
가구의 기준 중위소득 30% 이하일 경우 생계급여 신청 가능
가구원 수 | 기준 중위소득 30% |
---|---|
1인 | 655,256원 |
2인 | 1,084,225원 |
3인 | 1,390,000원 |
4인 | 1,687,294원 |
※ 2025년 보건복지부 발표 기준 중위소득 기준표 반영
② 재산 기준
재산은 지역별로 기준이 다릅니다.
- ✔️ 대도시: 6,900만 원 이하
- ✔️ 중소도시: 4,200만 원 이하
- ✔️ 농어촌: 3,500만 원 이하
③ 금융재산 기준
총 금융재산이 600만 원 이하여야 합니다. 예금, 적금, 주식, 보험 환급금 등이 포함됩니다.
✅ 부양의무자 기준은 어떻게 되나요?
2021년부터 생계급여에 한해 부양의무자 기준이 폐지되었습니다. 따라서 2025년에도 소득·재산 기준만 충족하면 신청 가능합니다.
단, 부양의무자가 고소득·고재산 보유자일 경우는 예외 적용될 수 있습니다.
📌 예외 조건:
- 부양의무자가 연소득 1억 원 초과
- 재산 9억 원 초과 시 부양 능력 인정됨
✅ 기초생활수급자 혜택 요약
- 💰 생계급여: 월 생활비 지원
- 🏥 의료급여: 진료비 90% 이상 감면
- 🏠 주거급여: 전·월세 지원 또는 공공임대 연계
- 📚 교육급여: 학용품비 + 입학금 + 교과서 등 지원
이 외에도 통신요금 감면, 문화누리카드, 전기·가스요금 감면 등 다양한 추가 혜택이 주어집니다.
✅ 마무리 요약
- ✔️ 2025년 기준 중위소득 30% 이하 + 재산 기준 충족 → 생계급여 신청 가능
- ✔️ 부양의무자 기준은 생계급여에 한해 폐지됨
- ✔️ 신청은 주소지 주민센터에서 가능하며, 상담을 통해 정확한 자격 여부 확인 가능
생활이 어려우시다면, 혼자 고민하지 마시고 가까운 주민센터에서 복지 상담을 먼저 받아보시기 바랍니다. 신청만으로도 바뀌는 일상이 있습니다. 🙏
반응형
'정부지원 > 기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생계급여 · 의료급여 · 주거급여 차이점 완벽 비교 – 기초생활수급자 혜택 총정리 (1) | 2025.07.27 |
---|---|
★2025년 생계지원 시리즈 한눈에 보기 – 긴급생계비부터 장기 대책까지 (0) | 2025.07.27 |
2025년 생계지원 제도 통합 가이드: 긴급지원부터 장기대책까지 총정리 (0) | 2025.07.27 |
실제 수령자 사례로 알아보는 생계지원 흐름: 생활안정자금 vs 긴급복지 (0) | 2025.07.27 |
생활안정자금 · 긴급복지 생계지원 신청 시 자주 묻는 질문 7가지 (2025) (0) | 2025.07.27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