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창업 전 반드시 가입해야 할 보험 & 세무 기초
“가게는 차렸는데, 보험은 어떻게 하죠?” “부가세 신고는 누가 도와주나요?”
이런 질문은 창업 초기 자영업자라면 누구나 하게 됩니다.
이번 글에서는 창업 전에 꼭 알아야 할 필수 보험과 세금 관련 기초 내용을 정리해드립니다. 보험은 사고 대비, 세무는 리스크 최소화를 위한 기본입니다.
1. 4대 보험 중 내가 가입해야 하는 것
개인사업자는 직장인과 달리 ‘선택 가입’ 대상입니다. 하지만 직원을 채용하거나 사업자등록이 있다면 일부는 의무입니다.
📌 자영업자 본인의 경우
- ✔️ 국민연금: 가입 가능 (희망 시) / 일부는 지역가입자로 자동 편입
- ✔️ 건강보험: 지역가입자 자동 적용 / 소득·재산 기준 산정
- ✔️ 고용보험: 1인 사업자도 자발적 가입 가능 (실업급여 X)
- ✔️ 산재보험: 직원 없으면 선택사항, 있으시면 반드시 가입
💡 팁: 노란우산공제는 소득공제 + 폐업 시 퇴직금 역할을 하는 정부 보장 제도입니다.
2. 매장 운영 시 필수 상업보험
✅ ① 화재보험
- – 건물 화재, 누전, 기물 파손 보장
- – 임대계약서에 ‘화재보험 필수’ 조항 포함되는 경우 다수
- – 월 5천 원 ~ 2만 원 수준
✅ ② 영업배상책임보험
- – 고객이 매장에서 다쳤을 경우, 배상 비용 보장
- – 음식점, 카페, 뷰티샵 등 대면 업종은 필수 수준
- – 연 5만 ~ 10만 원 수준으로 부담 적음
✅ ③ 시설물 특약보험
- – POS기기, 냉장고, 에어컨 등 주요 설비 고장 보장
- – 냉장식품 취급 업종은 꼭 고려
💡 팁: 소상공인공제회 또는 KB, 한화, 메리츠 등 일반 보험사 통해 가입 가능
3. 창업자가 꼭 알아야 할 세금 흐름
① 부가가치세 (VAT)
- – 일반과세자: 연 2회 신고 (1월, 7월)
- – 간이과세자: 연 1회 신고 (1월)
- – 매출의 10% 부가세 징수 → 납부 또는 환급
② 종합소득세
- – 매년 5월 / 전년도 총 매출·지출 기준으로 신고
- – 홈택스 또는 세무사 통해 가능
③ 원천세·4대보험 (직원 있는 경우)
- – 급여 지급 시 원천징수 + 4대보험 월별 신고 납부
- – 세무사 또는 4대보험 포털 통해 자동 처리 가능
💡 TIP: 초보 사장님은 1~2년간 세무기장 위탁 권장 (월 5~10만 원)
4. 자영업자를 위한 세무 관리 팁
✅ ① 홈택스 자주 쓰는 메뉴
- – 전자세금계산서 발행/수취
- – 현금영수증 내역 확인
- – 부가세 & 소득세 신고
✅ ② 세무사 기장 서비스
- – 매출·지출 자료만 넘기면 세금 자동 처리
- – 부가세, 종합소득세, 4대보험 한 번에 관리
- – 세금 리스크 예방 + 시간 절약
💡 정리: 세무를 맡길 곳이 없다면, 세무사 한 곳과 월 5~10만 원 선 계약으로 리스크 줄이세요.
✅ 마무리
창업은 시작도 중요하지만, 운영 중 사고와 세무 리스크를 어떻게 관리하느냐가 장기 생존에 직접적인 영향을 줍니다.
이번 글에서 안내드린 보험 가입과 세금 흐름은 소자본 창업자도 반드시 알아야 할 운영의 기초 체력입니다.
다음 시리즈에서는 창업 이후 매출을 올리는 마케팅 실전 전략, 또는 정부정책 활용법 시리즈로 이어가실 수 있습니다.
필요하신 경우 전체 시리즈 요약글, 카드뉴스, PDF로도 정리해드립니다. 댓글 또는 메시지로 요청해 주세요 😊
반응형
'소상공인 > 소상공인 창업 준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25년 창업 준비 시리즈 한눈에 보기 (1) | 2025.07.24 |
---|---|
창업자금 대출 vs 정부지원금 비교 전략 (2025년 기준) (0) | 2025.07.24 |
상가 계약 전 꼭 확인해야 할 5가지 체크포인트 (4) | 2025.07.24 |
예비 창업자를 위한 준비 서류 & 절차 총정리 (2025년 기준) (1) | 2025.07.24 |
2025년 소자본 창업 가능한 유망 업종 TOP 5 (4) | 2025.07.24 |